아몬드 섭취 심장질환 위험요인 개선 상관성 > 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   | 
  • 새 글  | 
  • 로그인
  • twitter
  • facebook
  • linkedin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원로그인

식품기능성의 표준화·과학화·세계화 기능성식품 임상시험센터 Clinical Trial Center for Functional Foods

보도자료

홈 > 커뮤니티 > 보도자료
보도자료

식품뉴스 | 아몬드 섭취 심장질환 위험요인 개선 상관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4-09-05 14:22 조회15,723회 댓글0건

본문



아몬드 섭취 심장질환 위험요인 개선 상관성

관상동맥질환 감소‧심장건강 향상효과 기대


아몬드를 꾸준히 먹으면 심장질환의 발생을 유도하는 위험요인들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주 동안 매일 30g(약 1온스)의 아몬드를 섭취하면 10년간 관상동맥질환 위험지수가 3.5%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캐나다 토론토대학 의대의 시릴 W. C. 켄달 박사 연구팀은 영국 영양학회(NS)가 발간하는 학술저널 ‘영국 영양학誌’(British Journal of Nutrition) 최신호에 게재한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켄달 박사팀은 인체에 유해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 평균연령이 64세에 달하는 성인 27명을 피험자로 충원한 뒤 3개 그룹으로 무작위 분류하고, 4주 동안 50~100g(2~4온스)의 아몬드, 100~200mg의 머핀빵, 또는 25~50g(1~2온스)의 아몬드와 50~100g의 머핀빵을 각각 먹도록 하는 방식의 연구를 진행했었다.

연구팀은 피험자들에게 제공한 메뉴를 달리하면서 3회에 걸쳐 같은 방식의 시험을 반복했다.

이때 연구팀은 피험자들에게 제공된 아몬드와 머핀빵의 양을 착수시점에서 측정한 개인별 체중에 따라 달리했다. 다만 칼로리량과 포화지방, 다불포화지방, 단백질 및 섬유질의 함유량을 같도록 했다.

예외적으로 아몬드의 단불포화지방 칼로리량은 50%에 달해 머핀빵의 8%에 비해 현격한 차이를 띄도록 했다. 머핀빵 또한 탄수화물 칼로리량이 53%여서 아몬드의 15%를 훨씬 웃돌았다.

그런데 연구기간이 종료된 후 피험자들의 중성지방을 분획해 분석한 결과 아몬드를 섭취한 그룹에서 오메가-9 불포화지방산의일종인 올레산(oleic acid)과 총 단불포화지방산의 양이 머핀빵을 먹은 그룹과 비교했을 때 용량비례적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주목됐다.

혈중 중성지방에서 올레산과 단불포화지방산의 양이 크게 증가했다는 것은 관상동맥질환이 발생할 위험성이 감소하는 반비례 상관성을 의미하는 대목이다.

켄달 박사팀은 이에 앞서 아몬드를 섭취하면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면서 인체에 육익한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요지의 연구결과를 공개한 바 있다.

이번에 도출된 결론과 관련, 켄달 박사는 “아몬드를 섭취한 그룹에서 혈중 지방산 분포의 개선이 눈에 띈 것은 단불포화지방 섭취가 전체적인 심장 건강을 유지‧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임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 출처 : 약업신문



기사 원문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pmode=&cat=all&cat2=&cat3=&nid=177040&num_start=112


보도자료 목록

Total 224건 11 페이지
게시물 검색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센터장 채수완     사업자등록번호 418-82-03771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20 임상연구지원센터     TEL 연구 진행(063-259-3044/ 3048), 연구대상자 신청(063-259-3583)     Fax 063-259-3060
Copyright © 2017 CTCF2. All rights reserved.